램프 점검
램프류를 교체하려면 반드시 안전한 곳에서 시동을 끄고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를 건 후,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한 상태에서 교체하십시오.
-
램프류를 점검하거나 교체하기 전에 시동을 끄고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를 확실히 걸어 두십시오. 작업 중에 차량이 갑자기 움직이거나 전기 충격에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규격에 맞지 않는 램프로 교체하면 퓨즈 단선 또는 이상 작동, 기타 배선 관련 장치의 손상,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반드시 장갑 등을 착용하십시오. 램프 표면이 뜨거우면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램프류를 교체할 때 적절한 공구와 규격에 맞는 전구가 준비되지 않거나 교체 방법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으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교체를 받으십시오. 특히 전조등, 차폭등, 방향지시등은 교체를 위해 임의로 차체를 분해하고 조립하다가 다른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램프가 단선되거나 손상되는 즉시 규격에 맞는 새 램프로 교체하십시오. 빼낸 램프는 주의하여 처리하십시오.
-
품질이나 성능이 부적합한 램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주변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순정부품 램프는 품질과 성능을 당사가 보증하는 부품입니다.
-
차량에 장착된 램프 외 LED나 램프를 추가로 장착하지 마십시오. 차량의 램프 오작동 및 깜빡임이 발생할 수 있으며, 퓨즈 박스나 배선 관련 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램프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램프를 분리하거나 램프 커넥터를 빼지 마십시오. 퓨즈 박스의 전기 장치가 램프 고장으로 인식하며, 고장 기록 코드(DTC)에 고장 기록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램프류는 주행 후 세차 또는 야간 우천 주행 등의 조건에서 렌즈 안쪽에 습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것은 램프 내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한 자연 현상이며 기능상의 문제는 없습니다. 램프 내부에 습기가 생겼을 때, 전조등을 켠 후 주행하면 습기가 제거됩니다. 램프의 크기, 위치, 환경 조건에 따라 습기가 제거되는 수준은 다를 수 있습니다.
다만 습기가 지속적으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 문의하 십시오.